맨위로가기

만주국 육군군관학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만주국 육군군관학교는 만주국에 설치된 군사 교육 기관으로, 신징 군관학교(4년제)와 펑톈 군관학교(2년제)가 있었다. 이 학교는 만주계와 일본계 학생을 대상으로 교육을 실시했으며, 특히 조선인 학생의 비중이 높았다. 졸업생들은 대한민국 국군에서 요직을 맡거나, 5·16 군사정변의 지지 기반이 되기도 했다. 펑톈 군관학교는 신징 군관학교의 전신이며, 두 학교 모두 해체 후 소련군에 의해 포로가 되거나 시베리아 억류를 겪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군사 학교 - 러시아 군사 종합 아카데미
    러시아 군사 종합 아카데미는 소련 붕괴 후 프룬제 군사 아카데미 등을 통합하여 설립된 러시아군의 고등 군사 교육 기관으로, 고등 장교 양성 및 고급 전문 교육을 제공하며 2008년 추가 통합을 거쳐 현재는 러시아 육군 총사령관의 지휘를 받는다.
  • 군사 학교 - 랴잔 육군 고급공수지휘학교
    랴잔 육군 고급공수지휘학교는 1918년 랴잔에 창설되어 러시아 공수군 장교를 양성하며, 여러 전쟁에 참전하고 소련 붕괴 이후에도 러시아의 주요 사관학교로 유지되며 다수의 영웅과 저명인사를 배출했다.
  • 만주국의 교육 기관 - 대동학원
    대동학원은 만주국 봉천성에 설립되어 오족협화 이념 교육과 일본어 강화 등 일본 제국주의 황민화 정책에 협력했다는 비판을 받는 교육기관으로, 광복 후 폐원되었으며 최규하 전 대통령 등을 배출했다.
  • 만주국의 교육 기관 - 쓰핑 육군전차학교
    쓰핑 육군전차학교는 1940년 일본 제국 육군이 중국 만주 쓰핑에 설립하여 기갑사단 장병의 교육 훈련을 담당하다 1945년 종전 직전 폐쇄된 전차 교육 기관이다.
  • 창춘시의 역사 - 만보산 사건
    만보산 사건은 1931년 만주 만보산 지역에서 조선인 이주민과 중국인 농민 간에 발생한 수로 공사 관련 충돌로, 일본의 과장 보도로 조선 내 반중국인 감정을 격화시키고 만주사변의 원인이 되었다.
  • 창춘시의 역사 - 대동학원
    대동학원은 만주국 봉천성에 설립되어 오족협화 이념 교육과 일본어 강화 등 일본 제국주의 황민화 정책에 협력했다는 비판을 받는 교육기관으로, 광복 후 폐원되었으며 최규하 전 대통령 등을 배출했다.
만주국 육군군관학교
개요
명칭만주국 육군군관학교
원어 명칭滿洲國陸軍軍官學校
별칭동덕대 (同德台)
유형국립・군학교
위치신징특별시 정월구 동덕대
설립 연도1939년 ( 강덕 6년) 4월
폐쇄 연도1945년 ( 강덕 12년) 8월
만주국 육군군관학교 학교 본부

2. 신징 군관학교

1939년 만주국 수도 신징에 설치된 4년제 군관학교로, 정식 명칭은 만주국 육군군관학교이나 흔히 신징 군관학교라고 불렸다. 약칭은 '''군교'''[1]이다. 푸이가 개교식에서 육군군관학교가 위치한 난강(南崗)대지를 동덕대(同徳台)라고 명명했기 때문에[2], '''동덕대 육군군관학교'''라고도 불렸다[3][4].

만주계와 일본계 학생이 있었으며, 일본계에는 일본열도인 외에 점령지역이던 한국과 대만 출신들도 포함되었다. 제1기 입학생 가운데 일본계는 172명이었다. 7기생을 끝으로 만주국이 멸망하면서 해체되었다. 신징 군관학교 시설은 중국인민해방군 장갑병기술학교로 사용되었다.

신징 군관학교는 지리적으로 조선과 가까워 조선인 학생이 많았다. 이들 중에는 대한민국 국군에 입대한 뒤 5·16 군사정변 이후 대한민국에서 요직을 거친 경우도 적지 않았다.

2. 1. 교육 과정

만주국 육군군관학교 학생들은 오전 6시에 기상하여 점호를 마친 후, 동쪽에 있는 천황의 궁성과 서쪽에 있는 만주국 황제의 만주국 황궁을 향해 궁성요배를 하는 것으로 하루를 시작했다. 오전에는 학과 수업을 받았고, 오후에는 연병장이나 야외에서 격검, 총검술, 유도, 보병 전투기술 등의 훈련을 받았다.[1]

학생들은 "일본계 학생"과 몽골인, 조선인 등을 포함한 "만주계 학생"으로 구분되었다. 일본계와 만주계 학생은 서로 다른 교육 중대에 편성되었다. 만주계 학생은 2개 중대 8개 구대(소대)로 구성되었으며, 1개 구대는 30명이었다.[1]

만주계 학생은 중학교 졸업 후 시험을 통해 입학할 수 있었지만, 일본계 학생은 별도의 시험 없이 내지의 육군 예과 사관학교 등 지원자 중에서 선발되었다. 일본계 학생들은 만주에서 예과를 졸업한 후 본과는 전원 육군사관학교, 육군 경리학교, 육군 항공사관학교로 돌아가 일본군 간부후보생과 함께 교육받았다. 만주계 학생 중에서도 성적 우수자는 일본 육사 편입 특전이 주어졌다. 중앙 육군 훈련처에도 비슷한 제도가 있었지만, 중앙 육군 훈련처 학생들은 만주국 군 장교 신분으로 유학하여 일반 학생들과 기거 및 교육 내용이 달랐던 반면, 군관학교 학생들은 일반 학생들과 함께 생활하며 동일한 교육을 받았다.[1]

2. 2. 출신 인물

만주국 육군군관학교는 지리적으로 조선과 가까워 조선인 학생이 많았다. 이들 중에는 대한민국 국군에 입대한 후 5·16 군사정변 이후 대한민국에서 요직을 거친 경우도 적지 않다. 제2차 세계 대전 후, 만주국 출신 조선인들은 대부분 군사영어학교를 거쳐 남조선 국방경비대를 거쳐 대한민국 국군에 들어갔다. 그들은 출신 학교나 군관학교에서 쌓은 끈끈한 연대 의식이 매우 강했고, 그 결과 동기들 중 남조선로동당에 감화되어 여수·순천 사건 때 숙군 운동의 희생자가 된 사람도 적지 않았다.[12][13] 숙군을 면한 자들은 일본 육사, 간후 출신자들과 마찬가지로 군 내부에서 출세할 수 있었으며, 5·16 군사 정변의 강력한 지지 기반이 되기도 했다.

한편, 조선건국준비위원회의 지시로 소련 점령 지역으로 월북한 남조선 국방경비대 장교들 중 상당수가 만주국군 출신이었다. 처음에는 정규 군사 훈련을 받았다는 이유로 팔로군이나 동북항일연군 출신들로부터 환영을 받았지만,[14] 이듬해 구 만주국군 출신 대부분이 투옥되었다고 한다.[15] 유일하게 만주국군 항공병 중위였던 박승환은 석방 후 출세하여 조선인민군 항공 부사령관이 되었다고도, 석방되지 못하고 그대로 수용소에서 옥사했다고도 한다.

유명 졸업생은 다음과 같다.

기수주요 인물
1기김동하 (해병 중장), 박임항 (육군 중장, 건설부장관), 방원철 (육군 대령), 윤태일 (육군 중장, 국회의원), 이기건 (육군 준장), 이주일 (육군 대장, 감사원장)
2기박정희 (육군 대장, 대통령), 이한림 (육군 중장)
3기최주종 (육군 소장), 강태민 (육군 준장)
5기강문봉 (육군 중장, 국회의원)
6기김윤근 (해병 장군)



각 기수별 입학 및 졸업 정보, 출신 인물 정보는 다음과 같다.


  • 1기

: 1939년(강덕 6년) 4월 입학(만계 90명), 1940년(강덕 7년) 1월 입학(일계 172명)

: 춘일원생, 박림항(수석, 일본 육사 56기 편입, 대한민국 육군 중장), 이주일(일본 육사 56기 편입, 한국 육군 대장), 최창언(일본 육사 56기 편입, 한국 육군 중장), 최창륜(일본 육사 56기 편입, 한국 육군 대위), 김민규(일본 육사 56기 편입), 조영원(일본 육사 56기 편입), 김동하, 김영택(일본 육군 경리학교 편입, 한국 육군 준장), 윤태일(한국 육군 중장), 방원철(월북 후 월남하여 한국 육군 대령), 이기건(월북, 조선인민군 소좌, 이후 월남하여 한국 육군 준장), 이순(일본 육군 경리학교 편입)

  • 2기

: 1940년(강덕 7년) 4월 입학, 1942년(강덕 9년) 3월 23일 졸업. 일계 240명, 만계 240명(그 중 조선계 12명)

: 박정희 (수석, 일본 육사 57기 편입, 대통령), 이한림(일본 육사 57기 편입, 한국 육군 중장), 이섭준(일본 육사 57기 편입), 김재풍(일본 육사 57기 편입, 월북), 이재기(한국 육군 대령), 김묵(한국 육군 소장), 안영길(한국 육군 소령, 사형), 강창선(한국 육군 대위, 사형), 이상진(한국 육군 소령, 사형), 이병주(한국 육군 소령, 사형)

  • 3기

: 1941년(강덕 8년)

: 최주종(일본 육사 58기 편입, 한국 육군 소장), 강태민(일본 육사 58기 편입, 한국 육군 소장)

  • 4기

: 1942년(강덕 9년)

: 장의산(수석, 한국 육군 대령, 사형), 예관수(한국 육군 대령)

  • 5기(만계만)

: 1943년(강덕 10년)

: 강문봉(수석, 일본 육사 59기 편입, 한국 육군 중장), 황택림(일본 육사 59기 편입, 한국 육군 소령, 사형), 이용술(일본 육사 59기 편입), 김태종(일본 육사 59기 편입)

  • 6기

: 1944년(강덕 11년) 1월 입학, 일계 200명

: 김윤근 (일본 육사 60기 편입), 김세현(일본 육사 60기 편입), 정정순(일본 육사 60기 편입), 김석권(일본 육사 60기 편입), 이우춘(일본 육사 60기 편입), 김학림(일본 육사 59기 편입, 한국 육군 중위, 사형), 김기준(일본 육사 60기 편입), 박승환(월북), 김동훈, 육홍수, 신원

  • 7기

: 1944년(강덕 11년) 12월 입학, 375명

: 김광식(여주대학교 학장)

3. 펑톈 군관학교

펑톈에 세워진 2년제 군관학교이다. 정식 명칭은 '''만주국 중앙육군훈련처'''이나 흔히 봉천군관학교라고 부른다. 1932년에 설립되어 9기를 끝으로 해체되었으며, 신징 군관학교의 전신 격이다.

조선인은 4기생부터 입학할 수 있었다.

3. 1. 설립 배경

펑톈에 세워진 2년제 군관학교로, 정식 명칭은 '''만주국 중앙육군훈련처'''이나 흔히 봉천군관학교라고 불렸다. 1932년에 설립되어 9기를 끝으로 해체되었으며, 신징 군관학교의 전신 격이다.

조선인은 4기생부터 입학할 수 있었으며, 졸업생 중에는 대한민국 국군에서 높은 지위에 오른 인물들도 있다.

3. 2. 출신 인물

기수인물비고
4기김응조대한민국 육군 준장, 국회의원
5기김백일대한민국 육군 중장 (추서)
5기김석범대한민국 해병대 중장
5기김일환대한민국 육군 중장, 교통부장관
5기송석하대한민국 육군 소장
5기신현준대한민국 해병대 중장
5기정일권대한민국 육군 대장, 국무총리
6기양국진대한민국 육군 중장
8기석주암대한민국 육군 소장
9기백선엽대한민국 육군 대장, 교통부장관


4. 해체 및 영향

1945년 소련의 침공 이후, 8월 10일 군관학교는 관동군의 지휘 아래 신경 방위전에 동원되었다. 8월 13일 군관학교 생도대가 신경 교외에서 방위 임무를 맡았으나, 만주계 장병과 생도들이 이탈하기 시작했다. 8월 14일 심야에는 만주계 장병과 생도 일부가 자동차 20대를 이용해 탈출했다.[10]

8월 15일 종전 직후, 만주계 생도들은 일제히 이반하여 중국군에 합류를 표명했다. 이로 인해 일본계 생도들과 일촉즉발의 상황이 벌어졌지만, 일본계와 만주계 교관 간의 협의를 통해 일본계 교관과 생도들이 교사를 떠나는 것으로 마무리되었다.[10]

포츠담 선언 수락 직후, 소련 침공 정보가 전해지는 가운데 건국대학 간부들은 독자적으로 조선과의 국경 부근에 거점을 만들고자 했다. 이들은 군관학교 교관과 생도에게 부대 이탈 및 참가를 요청했으나, 군관학교 간부들의 반대로 교관 3명만이 참가했다. 그러나 이마저도 폭우로 인해 좌절되었다.[10] 이후 신경에 진주한 적군은 군관학교 생도와 교관을 포로로 잡았고, 시베리아 억류 과정에서 7기생 중 95명이 사망했다.[16]

4. 1. 대한민국 국군에 미친 영향

만주국 육군군관학교 출신 조선인들은 군사영어학교를 거쳐 대한민국 국군에 들어갔다. 이들은 학교에서 쌓은 강한 연대 의식을 가지고 있었으며, 남조선로동당에 가담하여 여수·순천 사건 때 희생된 사람들도 있었지만[12][13], 그렇지 않은 사람들은 일본 육사 출신들과 함께 군 내에서 빠르게 출세하였다. 이들은 5·16 군사 정변의 주요 지지 기반이 되기도 했다.

만주국 군관학교 출신으로 대한민국 국군에서 주요 직위에 오른 인물들은 다음과 같다.

학교기수이름
신징 군관학교1기김동하 (해병 중장), 박임항 (육군 중장), 방원철 (육군 대령), 윤태일 (육군 중장), 이기건 (육군 준장), 이주일 (육군 대장)
신징 군관학교2기박정희 (육군 대장, 대통령), 이한림 (육군 중장)
신징 군관학교3기최주종 (육군 소장), 강태민 (육군 준장)
신징 군관학교5기강문봉 (육군 중장)
신징 군관학교6기김윤근 (해병 장군)
펑톈 군관학교4기김응조 (육군 준장)
펑톈 군관학교5기김백일 (육군 중장), 김석범 (해병 중장), 김일환 (육군 중장), 송석하 (육군 소장), 신현준 (해병 중장), 정일권 (육군 대장)
펑톈 군관학교6기양국진 (육군 중장)
펑톈 군관학교8기석주암 (육군 소장)
펑톈 군관학교9기백선엽 (육군 대장)


4. 2. 그 외 영향

제2차 세계 대전 후, 만주국 출신 조선인들은 대부분 군사영어학교를 거쳐 남조선 국방경비대와 대한민국 국군에 들어갔다. 이들은 출신 학교나 군관학교에서 쌓은 끈끈한 연대 의식이 매우 강했다.[12][13] 동기들 중 일부는 남조선로동당에 가담하여 여수·순천 사건 때 숙군되었지만,[12][13] 숙군을 면한 사람들은 일본 육사 출신들과 마찬가지로 군 내부에서 출세했고, 5·16 군사 정변의 지지 기반이 되기도 했다.

한편, 조선건국준비위원회의 지시로 월북한 남조선 국방경비대 장교들 중 상당수가 만주국군 출신이었다. 처음에는 정규 군사 훈련을 받았다는 이유로 팔로군이나 동북항일연군 출신들에게 환영받았지만,[14] 이듬해 구 만주국군 출신 대부분이 투옥되었다고 한다.[15] 유일하게 만주국군 항공병 중위였던 박승환은 석방 후 출세하여 조선인민군 항공 부사령관이 되었다고도, 석방되지 못하고 그대로 수용소에서 옥사했다고도 한다.

참조

[1] 웹사이트 命名の由来 http://www.decaa.org[...]
[2] 서적 満洲国軍
[3] 서적 同徳台陸軍軍官学校第七期生史 https://rnavi.ndl.go[...] 同徳台第七期生会 1990-06-00
[4] 서적 中国少年の見た日本軍―日本語で綴る10人の証言― 青木書店 1985-00-00
[5] 문서 中華民国
[6] 서적 満洲国軍
[7] 문서 満系生徒でも成績優秀者は内地の陸軍士官学校へ留学できたため、「同じ教育・訓練を受けた唯一の士官学校」ではない。
[8] 뉴스 偽満軍校の「特別な」教師と生徒:浦傑と朴正煕(伪满军校里的“特殊”师生:溥杰与朴正熙) http://www.360doc.co[...] 2012-01-11
[9] 뉴스 「目標のために死辞さないほど誠実」優等の成績で4年後に「皇軍」少尉("목표 위해 죽음 불사할만큼 성실"우등 성적으로 4년만에 '황군' 소위) http://www.ohmynews.[...] 2004-08-19
[10] 뉴스 【満州文化物語(17)】満州国軍の日本人軍官…「軍再興」が幻に終わったのは- https://www.sankei.c[...] 2016-02-14
[11] 서적 朝鮮戦争/韓国篇(上) 建軍と戦争の勃発前まで 原書房 1976-03-30
[12] 뉴스 粛軍の主役と助力者たち(“숙군(肅軍)의 주역과 조력자들”) http://www.dailykore[...] 2015-12-18
[13] 웹사이트 朴正熙はなぜ「アカ」になった?(“박정희는 왜 ‘빨갱이’가 됐나?”) http://blog.ohmynews[...] 2012-06-18
[14] 웹사이트 韓国軍予備役大佐方圓哲の最初の証言 http://www.mongyang.[...] 夢陽 呂運亨 記念事業会
[15] 웹사이트 朴正煕の伝記(朴正煕 전기) http://www.chogabje.[...] 趙甲済ドットコム
[16] 웹사이트 各奉仕団体等の慰霊行事 - 第18回同徳台第7期生会死没者慰霊祭(平成28年3月28日) http://www.boen.or.j[...] 2016-04-2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